Skip to content

데이터이슈


추운 날씨에도 골프장 방문객 증가…순위 싸움 치열

0

-비에이비스타CC, 신라CC 톱5 진입, 전월 대비 방문객 100% 이상 상승 ▶이미지=TDI News(티디아이 뉴스) 빅데이터 전문기업 TDI(티디아이, 대표 신성균)가 자사의 플랫폼 데이터드래곤을 통해 Tmap 사용자를 분석해 국내 골프장 방문객을 조사했다. 2월 기준 골프장 방문객 톱5는 △레이크사이드CC(1만 8,000대) △비에이비스타CC(1만 8,000대) △신라CC(1만 7,000대) △리베라CC(1만 7,000대) △아일랜드CC(1만 6,000대) 순이다. 1위와 5위의 차량도착수 차이는 약 2,000대 정도 차이가 나는 것으로 확인된다. 골프장 전체 순위 싸움이 치열한 모습이다. 5곳의 전월 차량도착수는 △레이크사이드CC(1만 2,000대) △비에이비스타CC(6,000대) △신라CC(8,000대) △리베라CC(1만 1,000대) △아일랜드CC(1만 1,000대)로 비에이비스타CC와 신라CC가 순위권에 새롭게 진입했다. 전월 대비 증감률은△레이크사이드CC 50% △비에이비스타CC 200% △신라CC 112.5% △리베라CC 54.6% △아일랜드CC 45.5%로 톱5 모두 방문객이 크게 증가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골프장 #데이터드래곤 #TDI

저가 카페 앱 높은 증가율…전년 대비 증감률은?

0

-작년 대비 이디야멤버스·할리스 제외 상승세 ▶이미지=TDI News(티디아이 뉴스) 커피 산업이 성숙기에 들어서며, 국내 커피 창업시장이 분화되고 있다. 이에 국내 커피 업계의 경쟁이 치열해지는 모습이다. 빅데이터 전문기업 TDI(티디아이, 대표 신성균)가 안드로이드 사용자가 설치한 카페 앱 설치자 증감률을 조사했다. 전년 대비 23년 1월 카페 앱 설치자 증감률은 △스타벅스 7% △이디야 멤버스 -14% △투썸하트 29% △메가MGC커피 멤버십 27% △빽다방 15% △공차멤버십 1% △컴포즈커피 46% △할리스 -6% △커피빈 7% △Paul Bassett Crown Order 27%로 나타났다. 이디야멤버스와 할리스를 제외한 앱들이 전년도 대비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잇따른 물가 상승에 영향을 받아 메가MGC커피, 빽다방, 컴포즈커피 등 저가 브랜드들의 높은 상승세를 확인할 수 있다. 고물가 상황이 장기화되면서 가성비 브랜드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다. 이로 인해 커피 프랜차이즈 시장도 고급 브랜드와 가성비 브랜드로 양극화 현상이 심화되는 분위기다. 저가 커피 브랜드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업체 간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업체들은 출점 전략, 마케팅 차별화 등 각자의 방식으로 브랜드 입지 다지기에 주력하고 있다. 가성비만을 강조하던 기존의 전략에서 탈피해 지역 상생을 통한 신메뉴 출시, 시설 투자, 가맹점 관리 등을 통해 활로를 찾고 있다. #카페 #데이터드래곤 #TDI

2월 해수욕장 방문객 감소…추운 날씨 탓?

0

-톱5 中 ‘대천해수욕장’ 제외 전월 대비 방문객↓…상위권 싸움 치열 ▶이미지=TDI News(티디아이 뉴스) 빅데이터 전문기업 TDI(티디아이, 대표 신성균)가 자사의 플랫폼 데이터드래곤을 통해 Tmap 사용자를 분석해 국내 해수욕장 방문객을 조사했다. 2월 기준 해수욕장 방문객 톱5는 △대천해수욕장(4만 7,000대) △해운대해수욕장(4만 6,000대) △을왕리해수욕장(4만 5,000대) △경포해변(3만 5,000대) △광안리 해수욕장(3만 4,000대) 순이다. 상위 3곳의 해수욕장은 실제 수치가 약 800대 정도 차이가 나는 것으로 확인된다. 해수욕장의 상위권 싸움이 치열한 모습이다. 5곳 해수욕장의 전월 수치는 △대천해수욕장(4만 4,000대) △해운대해수욕장(5만 대) △을왕리해수욕장(4만 9,000대) △경포해변(3만 6,000대) △광안리해수욕장(3만 4,000대)로 대천해수욕장이 1위를 차지했다. 전월 대비 증감률은 △대천해수욕장 6.8% △해운대해수욕장 -8% △을왕리해수욕장 -8.2% △경포해변 -2.8% △광안리해수욕장 0%로 대천해수욕장을 제외한 4곳의 방문객이 모두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해수욕장 #데이터드래곤 #TDI

MZ 놀이터 ‘본디’ 짧은 흥행…앱 이용 현황은?

0

- 중국 앱 논란에 이용자 대거 이탈 DAU 6%대 ▶이미지=TDI News(티디아이 뉴스) MZ 세대의 놀이터로 주목받았던 본디의 반짝 흥행이 끝났다. 본디는 1월 17일 공식 출시 이후 3주 만에 구글 플레이 스토어에서만 500만 회 이상 다운로드 된 화제의 SNS 앱이다. 옛 싸이월드 감성을 살린 메타버스 SNS로 입소문이 나면서 이용자가 늘어난 것이다. 그러나 개인정보 유출 의혹을 받는 중국 기업이 만들었다는 논란으로 인기는 빠르게 사그라들었다. 트루리(True.ly)가 지난해 선보인 ‘젤리’라는 앱에서 개인정보 침해 등의 논란이 있었는데, 본디 운영사인 싱가포르 법인 메타드림이 같은 해 5월 트루리를 인수해 본디를 선보인 것이다. 이런 논란에 본디코리아는 지난달 14일과 15일 양일에 걸쳐 해명에 나섰지만 이용자 이탈을 막을 수는 없었다. 본디코리아는 “트루리에 따르면 (젤리의) 개인정보 유출은 허위 사실로 판명 났다”라며 “본디는 현재까지 단 한 건의 개인정보 유출 ·도용이 발생하지 않았고, 수집하는 정보도 여타 앱에서 수집하는 통상적인 수준"이라고 말했다. 빅데이터 전문기업 TDI(티디아이, 대표 신성균)가 자사의 플랫폼 데이터드래곤 통해 본디를 분석한 결과 기기설치수와 일간활성화이용자수(DAU)가 현저히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기기설치수는 2월 4일 7만 6,000대에서 2월 14일 118만 3,000대로 늘어나 가장 높은 설치수를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바로 다음날부터 감소세를 보였으며, 3월 5일 30만 대 이상 줄어든 86만 8,000대로 나타났다. DAU도 2월 4일 38.2%에서 2월 14일 39%로 소폭 상승했지만 3월 5일 6.3%라는 낮은 수치를 보이며 활성 사용자의 크게 줄어든 모습을 보였다. 일각에서는 본디가 국적 논란이 아닌 자체 경쟁력 약화로 외면받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앱 구동도 느리고 오류가 자주 발생하는 데다, 꾸미기 외엔 즐길 콘텐츠가 별로 없다고 말했다. 업계 한 관계자는 “본디는 국적 논란 있기 전부터 ‘하루 이틀 지나면 할 게 없다’는 평가가 많았다”라며 “현실의 인간관계를 넘어 네트워크를 넓히는 것이 SNS 장점인데 친구 수를 50명으로 제한한 폐쇄성도 이용자 확대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본디 #데이터드래곤 #TDI

2월 SNS 앱 톱5, 전월 순위 유지

0

-5개 앱 설치자 증감률 1%대로 변화 미미 ▶이미지=TDI News(티디아이 뉴스) 빅데이터 전문기업 TDI(티디아이, 대표 신성균)가 자사의 플랫폼 데이터드래곤을 통해 안드로이드 사용자가 가장 많이 설치한 소셜미디어 앱 사용자를 조사했다. 2월 기준 설치 수 Top5는 △밴드(2,511만 대) △Instagram(2,149만 대) △Facebook(1,522만대) △카카오스토리(1,472만 대) △네이버 카페(1,012만 대) 순이다. 1월 5개 앱의 설치 수는 △밴드 2,511만 대 △Instagram 2,171만 대 △Facebook 1,539만대 △카카오스토리 1,471만 대 △네이버 카페 1,050만 대 순으로 2월에도 지난달의 순위를 유지했다. 전월 대비 증감률은 △밴드 0.0% △Instagram -1.0% △Facebook -1.1% △카카오스토리 0.1% △네이버 카페 0.7%로 5개 앱 모두 미미한 변화를 보였다. #SNS #데이터드래곤 #TDI

2월 핫플레이스 톱5 순위 대변동…1위 ‘아쿠아플라넷'

0

-Tmap 사용자 분석 호미곶해맞이광장 홀로 방문객 감소 ▶이미지=TDI News(티디아이 뉴스) 빅데이터 전문기업 TDI(티디아이, 대표 신성균)가 자사의 분석 플랫폼 데이터드래곤을 통해 Tmap 사용자가 찾은 국내 관광명소를 조사했다. 2월 관광명소 톱5는 △아쿠아플라넷(5만 2,000대) △오이도빨간등대(4만 8,000대) △바람의언덕(4만 7,000대) △호미곶해맞이광장(4만 4,000대)△전주한옥마을(4만 2,000대)이 차지했다. 1월의 톱5는 △화천산천어축제(9만 6,000대) △호미곶해맞이광장(5만 6,000대) △아쿠아플라넷(4만 8,000대) △오이도빨간등대(4만 5,000대) △바람의언덕(4만 3,000대)로 2월 ‘전주한옥마을’이 새롭게 순위권에 올랐다. 전월 대비 증감률은 △아쿠아플라넷 8.3% △오이도빨간등대 6.7% △바람의언덕 9.3% △호미곶해맞이광장 -21.4% △전주한옥마을 23.5%로 호미곶해맞이광장 홀로 감소세를 보였다. 전주한옥마을은 전라북도 전주시에 위치한 전통 한옥, 서예 박물관, 전통술 박물관이 있는 문화 마을로 전주의 대표적인 관광지다. #관광명소 #데이터드래곤 #TDI

2월 증권 앱 랭킹 조사…삼성∙미래에셋 ‘엎치락뒤치락’

0

-삼성증권 mPOP 앱, 설치자 증가율 1위로 2위 안착 ▶이미지=TDI News(티디아이 뉴스) 빅데이터 전문기업 TDI(티디아이, 대표 신성균)가 자사의 플랫폼 데이터드래곤을 통해 안드로이드 사용자가 가장 많이 설치한 은행 앱 사용자를 조사했다. 2월 기준 설치 수 Top5는 △KB증권 ‘M-able’(388만 대) △삼성증권 mPOP(321만 대) △미래에셋증권 m.Stock(321만 대) △나무증권-일상의 Shift(204만 대) △신한알파-대표MTS(139만 대) 순으로 근삿값이 아닌 실제 데이터는 삼성증권 앱이 미래에셋 증권 앱보다 근소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월 5개 앱의 설치 수는 △KB증권 ‘M-able’ 388만 대 △삼성증권 mPOP 319만 대 △미래에셋증권 m.Stock 320만 대 △나무증권-일상의 Shift 206만 대 △신한알파-대표MTS 140만 대다. 전월 대비 증감률은 △KB증권 ‘M-able’ 0.0% △삼성증권 mPOP 0.6% △미래에셋증권 m.Stock 0.3% △나무증권-일상의 Shift -1.0% △신한알파-대표MTS -0.7%로 ‘삼성증권 mPOP’이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이며 ‘미래에셋증권 m.Stock’을 밀어내고 2위에 올랐다. 1월에는 ‘미래에셋증권 m.Stock’이 2위, ‘삼성증권 mPOP’이 3위를 기록한 바 있으며, 12월에는 ‘삼성증권 mPOP’이 3위 ‘미래에셋증권 m.Stock’이 4위로 매달 치열한 순위 경쟁을 하는 모습이다. #증권 #데이터드래곤 #TDI

‘징맨’ 황철순 폭행 논란…“사실 자작극” SNS 해명

0

-8일 1일 검색량 전월 평균치 약 193배↑ ▶이미지=TDI News(티디아이 뉴스) tvN ‘코미디빅리그’ 징맨으로 이름이 알려진 트레이너 황철순이 아내 A 씨를 폭행하는 영상이 공개된 가운데, A 씨가 폭행은 사실이 아닌 연출된 상황이라고 해명했다. 8일 온라인 커뮤니티와 사회관계망 서비스(SNS)를 중심으로 황철순이 집 안에서 A 씨의 머리를 강타하는 모습이 포착된 영상이 공개됐다. 이후 A 씨는 자신의 인스타그램 스토리에 ‘황철순이 때려서 이렇게 됨’이라는 설명과 함께 눈가에 멍이 든 사진을 공개되며 “가정 폭력이 있었던 게 아니냐”라는 의혹이 불거졌다. 이 영상이 논란이 되자 아내 A 씨는 부부 사이를 이간질하는 사람들을 색출하기 위한 자작극이었다고 직접 해명했다. 빅데이터 전문기업 TDI(티디아이, 대표 신성균)가 자사의 분석 플랫폼 데이터드래곤을 통해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8일 ‘황철순’은 약 13만 5,000건 검색됐다. 지난 2월 한 달간 일 평균 검색량(약 700건)의 약 193배 높은 수치다. 검색량의 성비를 살펴보면 남성 75%, 여성이 25%로 남성이 3배 많았으며, 연령별로는 20대가 39%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A 씨는 8일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최근에 올라온 기사로 많은 분께 걱정을 끼치게 돼 죄송하다”라며 “저희 부부는 행복한 가정을 이루고 잘 살고 있다”라는 글을 게재했다. A 씨는 “남편이 가장의 무게를 짊어지고자 다방면으로 활동할 당시, 저는 둘째를 임신 중이었고, 임신 후 몸과 마음이 힘든 상태에서 서운함을 갖게 됐다”라고 전하면서, 폭행 영상과 사진에 대해 “오빠(황철순)와 오빠 주변인 몇 명만 볼 수 있게 올렸던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후 A 씨는 “자료들이 사실이었다면 제가 경찰에 신고했거나 언론에 제보했을 것”이라며 “특정인 소수에게 경각심을 어필했던 게, 시간이 지나 이렇게 알려질지 몰랐다”라고 해명했다. 이어 “저희 부부 잘 지내고 있고, 오빠를 잘 내조하며 행복한 가정생활로 보답하겠다”라고 덧붙였다. 황철순은 과거에 폭행 시비로 집행유예 선고를 받고, 벌금형을 선고받은 이력이 있어 아내를 폭행한 것으로 보이는 영상이 공개된 후 더 큰 비난을 받았다. #황철순 #데이터드래곤 #TDI

[3월 1주 영화 랭킹] 신작 ‘대외비’ 관심 압도…日애니∙임영웅 ‘히어로’도 눈길

0

-2/27~3/5 박스오피스 톱10, 검색량 조사 ▶이미지=TDI News(티디아이 뉴스) 빅데이터 전문기업 TDI(티디아이, 대표 신성균)가 자사의 분석 플랫폼 데이터드래곤을 통해 3월 1주 차 박스오피스 톱10 영화의 검색량을 조사했다. KOBIS 영화관입장권 통합전산망에 따르면 3월 1주 차(2/27~3/5) 관객 수가 가장 많이 동원된 영화 10편은 △대외비 △귀멸의 칼날: 상현집결, 그리고 도공마을로 △더 퍼스트 슬램덩크 △앤트맨과 와스프: 퀀텀매니아 △서치2 △아임 히어로 더 파이널 △카운트 △멍뭉이 △마루이 비디오 △스즈메의 문단속 순이다. 동기간 10개 영화는 △대외비(119만 7,000건) △서치2(54만 4,000건) △스즈메의 문단속(46만 5,000건) △카운트(45만 2,000건) △귀멸의 칼날: 상현집결, 그리고 도공 마을로(42만 3,000건) △더 퍼스트 슬램덩크(40만 5,000건) △멍뭉이(36만 9,000건) △마루이 비디오(31만 4,000건) △아임 히어로 더 파이널(17만 7,000건) △앤트맨과 와스프: 퀀텀매니아(8만 8,000건) 차례로 검색량이 많게 나타났다. 지난 1일 개봉한 ‘대외비’는 2위와의 큰 차이로 검색량 1위를 기록했으며, 주간 동원 관객 수 1위로 박스오피스 가장 높은 곳에 올랐다. 만년 국회의원 후보와 정치판의 숨은 실세, 행동파 조폭이 대한민국을 뒤흔들 비밀문서를 손에 쥐고 판을 뒤집기 위해 치열한 쟁탈전을 벌이는 작품으로 조진웅•이성민•김무열 등 내로라하는 흥행 배우들이 대거 투입됐다. 3월 1주 차에 개봉한 또 다른 한국 영화 ‘멍뭉이’도 선전 중이다. 유연석•차태현 주연의 이 영화는 두 형제가 사랑하는 반려견의 완벽한 집사를 찾기 위해 면접을 다니며 새로운 만남을 이어가는 내용이다. 소소하지만 따뜻한 내용으로 관객들의 호평을 얻고 있다. 이외 1일과 2일에 개봉한 애니메이션 ‘귀멸의 칼날’과 임영웅의 콘서트 실황을 담은 ‘아임 히어로 더 파이널’도 높은 관심에 이어 박스오피스에 안착해 눈길을 끈다. #영화 #데이터드래곤 #TDI

2월 패스트푸드 톱5…롯데리아 홀로 방문객 증가

0

-Tmap 사용자 분석 맥도날드 감소세에도 여전한 브랜드 순위 1위 ▶이미지=TDI News(티디아이 뉴스) 빅데이터 전문기업 TDI(티디아이, 대표 신성균)가 자사의 플랫폼 데이터드래곤을 통해 Tmap 사용자를 분석해 국내 패스트푸드점 방문객을 조사했다. 2월 전국 패스트푸드 지점별 순위는 △맥도날드 연희DT점(4,800대) △맥도날드 송파잠실DT점(4,300대) △맥도날드 안산고잔DT점(4,100대) △맥도날드 김포장기DT점(4,000)대 △맥도날드 송도GSDT점(3,900대)로 모두 맥도날드가 차지했다. 연희DT점이 12.8%라는 높은 증가율을 보이며 1위를 차지했고, 지난달 1위였던 김포장기DT점이 -8.3%라는 높은 감소율을 보이며 4위로 떨어졌다. 한편 지난달 전국 패스트푸드 브랜드별 랭킹은 △맥도날드(40만 2,500대) △버거킹(17만 9,500대) △롯데리아(17만 7,200대) △KFC(4만 1,700대) △노브랜드버거(1만 4,400대) 순으로 전월과 비교해 순위 변동은 없었다. 그러나 전월 대비 증감률은 △맥도날드 -3.9% △버거킹 -3.9% △롯데리아 1.3% △KFC -1.9% △노브랜드버거 -7.1%로 롯데리아를 제외한 4곳의 패스트푸드점이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다. #햄버거 #데이터드래곤 #TDI

2월 은행 앱 톱5, ‘카카오뱅크’ 홀로 설치자 감소세

0

-은행 앱 설치자 조사…KB, NH제치고 3위 올라 ▶이미지=TDI News(티디아이 뉴스) 빅데이터 전문기업 TDI(티디아이, 대표 신성균)가 자사의 플랫폼 데이터드래곤을 통해 안드로이드 사용자가 가장 많이 설치한 은행 앱 사용자를 조사했다. 2월 기준 설치 수 Top5는 △토스(1,988만 대) △카카오뱅크(1,754만 대) △KB국민은행 스타뱅킹(1,359만 대) △NH스마트뱅킹(1,357만 대) △신한 쏠(SOL)(1,000만 대) 순으로 ‘KB국민은행’ 앱이 ‘NH농협은행’ 앱을 제치고 3위에 올라섰다. 1월 5개 앱의 설치 수는 △토스 1,980만 대 △카카오뱅크 1,756만 대 △KB국민은행 스타뱅킹 1,346만 대 △NH스마트뱅킹 1,352만 대 △신한 쏠(SOL) 1,000만 대다. 전월 대비 증감률은 △토스 0.4% △카카오뱅크 -0.1% △KB국민은행 스타뱅킹 1.0% △NH스마트뱅킹 0.4% △신한 쏠(SOL) 0.0%로 ‘카카오뱅크’ 앱만 설치자가 줄었고, ‘KB국민은행 스타뱅킹’이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은행 #데이터드래곤 #TDI

[2월 음원 랭킹] 뉴진스 독주 속 컴백 가수들 선전

0

-‘Ditto’ 3개월 연속 검색량 1위 ▶이미지=TDI News(티디아이 뉴스) 빅데이터 전문기업 TDI(티디아이, 대표 신성균)가 자사의 분석 플랫폼 데이터드래곤을 통해 2월 인기 음원의 검색량을 조사했다. 분석 대상은 카카오엔터테인먼트의 음원 플랫폼 멜론(Melon) 2월 기준 음원 톱10 △NewJeans(뉴진스)-Ditto(디토) △NewJeans(뉴진스)-OMG △NewJeans(뉴진스)-Hype boy(하입보이) △윤하(YOUNHA)-사건의 지평선 △태양(feat.Jimin of BTS)-VIBE △LE SSERAFIM(르세라핌)-ANTIFRAGILE(안티프래자일) △NewJeans(뉴진스)-Attention(어텐션) △IVE(아이브)-After LIKE(애프터 라이크) △부석순(SEVEVTEEN)(Feat. 이영지)-파이팅 해야지 △NCT DREAM(엔시티 드림)-Candy(캔디)다. 검색량 순위는△Ditto 22만 5,000건 △사건의 지평선 15만 8,000건 △OMG 12만 4,000건 △파이팅 해야지 6만 3,000건 △Hype boy 5만 3,000건 △ANTIFRGILE 5만 2,000건 △VIBE 5만 1,000건 △Attention 3만 7,000건 △After LIKE 2만 7,000건 △Candy 1만 7,000건 순으로 나타났다. 지난 1월에 이어 검색량 1위를 차지한 ‘Ditto’는 음원 순위 역시 선두를 유지했으며, 전월과 같이 음원 차트 톱3를 모두 NewJeans가 차지했다. 부석순(SEVENTEEN)의 ‘파이팅 해야지’와 태양의 ‘VIBE’가 2월 음원 순위 톱 10에 새롭게 진입했으며 검색량은 각 4위와 7위를 기록했다. 부석순(SEVENTEEN)의 ‘파이팅 해야지’는 약 5년 만에 컴백한 곡으로 현대인의 생활 속 느끼는 갈증같이 누구나 겪을 수 있는 상황들과 그에 대한 생각들을 솔직하고 위트 있게 풀어냈다. 이 곡에는 MZ 세대의 아이콘으로 자리 잡은 이영지가 피처링에 참여해 호흡을 맞췄다. 태양의 ‘VIBE’는 6년 만에 솔로 컴백한 곡으로 태양과 방탄소년단 지민의 콜라보가 많은 화제를 모았다. ‘VIBE’는 서로의 관계 속 ‘VIBE’를 통해 느낄 수 있는 미묘한 감정을 위트 있는 가사로 풀어낸 곡이다. 기존 음원들의 강세 속에서 오랜만에 컴백한 가수들의 반격이 시작되는 모습이다. #노래 #데이터드래곤 #TDI

2월 패밀리레스토랑 톱5… ‘아웃백스테이크하우스’ 제외 방문객 증가

0

-Tmap 사용자 분석, 브랜드별 1위 ‘아웃백스테이크하우스’ 지점별은 ‘VIPS’ ▶이미지=TDI News(티디아이 뉴스) 빅데이터 전문기업 TDI(티디아이, 대표 신성균)가 자사의 플랫폼 데이터드래곤을 통해 Tmap 이용자가 가장 많이 방문한 패밀리레스토랑을 조사했다. 2월 전국 패밀리레스토랑의 브랜드별 톱5는 △아웃백스테이크하우스(8만 8,500대) △VIPS(4만 8,800대) △애슐리(3만 5,900대) △애슐리퀸즈(2만 7,200대) △라라코스트(1만 8,600대) 순이다. 5곳의 전월 수치는 △아웃백스테이크하우스(9만 200대) △VIPS(3만 5,200대) △애슐리(2만 7,300대) △애슐리퀸즈(1만 8,400대) △라라코스트(1만 8,500대)로 ‘아웃백스테이크하우스’를 제외한 4곳의 패밀리레스토랑 방문자가 증가했다. 반면 지점별 랭킹 톱5는 △VIPS 일산점(4,400대) △애슐리퀸즈 송도트리플스트리트점(4,100대) △빕스 부산W스퀘어점(4,000대) △VIPS 프리미어 다산점(3,900대) △VIPS 아주대점(3,800대)로 2위를 제외한 모든 순위를 ‘VIPS’가 차지했다. #패밀리레스토랑 #데이터드래곤 #TDI

OTT 앱 톱3, 전월 대비 설치자 감소

0

-넷플릭스·웨이브·티빙·쿠팡플레이·디즈니플러스 순위 유지 ▶이미지=TDI News(티디아이 뉴스) 빅데이터 전문기업 TDI(티디아이, 대표 신성균)가 자사의 플랫폼 데이터드래곤을 통해 안드로이드 사용자가 가장 많이 설치한 OTT 앱 사용자를 조사했다. 2월 기준 설치 수 Top5는 △Netflix(1,457만 대) △wavve(1,204만 대) △티빙(711만 대) △쿠팡플레이(699만 대) △Disney+(351만 대) 순이다. 1월 기준 5개 앱의 설치 수는 △Netflix 1,479만 대 △wavve 1,210만 대 △티빙 721만 대 △쿠팡플레이 689만 대 △Disney+ 348만 대이며, 1월의 순위를 유지했다. 전월 대비 증감률은 △Netflix -1.5% △wavve -0.5% △티빙 -1.4% △쿠팡플레이 1.5% △Disney+ 0.9%로 톱3의 설치자가 줄었다. #OTT #데이터드래곤 #TDI

바뀌는 주 52시간…70년 만에 근로제도 개편

0

-경제단체, 노동단체 찬반 팽팽 ▶이미지=TDI News(티디아이 뉴스) 정부가 70년간 시행해온 근로시간 제도의 대대적인 개편을 추진한다. 현재 대표되는 주 52시간제를 개선해 바쁠 경우 최대 69시간까지 일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한가할 때 장기 휴가 등을 이용해 쉴 수 있게 한다는 것이 개편 내용이다. 정부는 이 같은 개편안을 내달 17일까지 입법예고한 후 6월쯤 개정법안을 국회에 제출하겠다는 방침이다. 빅데이터 전문기업 TDI(티디아이, 대표 신성균)가 자사의 분석 플랫폼 데이터드래곤을 통해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6일 ‘주 69시간’은 약 2만 2,000건 검색됐다. 전날 검색량(약 300건)의 73배가 넘는 수치다. 남성 72%, 여성 28%로 남성의 비율이 2.5배 많았으며, 연령별로는 30대가 41%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20대가 37%로 그 뒤를 이었다. 정부의 근로기준법 개정안에 대해 경제단체들은 기업의 업무 효율을 높이고 근로자들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한다며 찬성의 입장을 밝혔다. 반면 민주노총과 한국노총은 장시간 집중 노동을 가능하게 하고 노동자의 휴식권을 충분히 보장하지 않는다며 반대의 입장을 밝혔다. 민주노총은 논평을 내고 “이번 개편안에는 노동자의 건강과 휴식은 없고 오로지 사업주의 이익만 있을 뿐”이라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노동시간을 늘려야 한다면 노동자를 더 고용하는 것이 옳다며 중소기업의 경우, 낮은 임금으로 현재보다 더 많은 일을 하는 노동자가 나타날 수 있다고 말했다. 특히 과로사가 증가할 수 있다며 이번 근로시간 개편안에 대한 우려를 전했다. #근로시간 #주 52시간 #주 69시간 #데이터드래곤 #TDI

2월 스포츠 앱 톱5, 전월 대비 사용자 ‘주춤’

0

-안드로이드 사용자 분석 ▶이미지=TDI News(티디아이 뉴스) 빅데이터 전문기업 TDI(티디아이, 대표 신성균)가 자사의 플랫폼 데이터드래곤을 통해 안드로이드 사용자가 설치한 스포츠 앱 5개를 조사했다. 2월 스포츠 앱 랭킹 톱5는 △U+프로야구(494만 대) △U+골프(406만 대) △골프존(244만 대) △스마트스코어(148만 대) △카카오골프예약(102만 대) 순이다. 5개 앱의 지난 1월 앱 설치 수는 △U+프로야구 496만 대 △U+골프 406만 대 △골프존 255만 대 △스마트스코어 149만 대 △카카오골프예약 102만 대다. 전월 대비 설치 수 증감률은 △U+프로야구 -0.4% △U+골프 0.0% △골프존 -4.3% △스마트스코어 -0.7% △카카오골프예약 0.0%로 5개 앱 모두 설치자가 줄거나 유지됐다. #스포츠 #데이터드래곤 #TDI

2월 서적·문구 톱5…문구점 방문객↑

0

-교보문고 차량도착수 감소에도 압도적 1위 ▶이미지=TDI News(티디아이 뉴스) 빅데이터 전문기업 TDI(티디아이, 대표 신성균)가 자사의 플랫폼 데이터드래곤을 통해 Tmap 사용자가 방문한 서적·문구점을 조사했다. 2월 전국 서적·문구점 브랜드별 차량도착수 순위는 △교보문고(8만 2,000대) △알파문구(3만 6,000대) △알라딘중고서점(1만 9,000대) △드림디포(1만 6,000대) △영풍문고(1만 5,000대) 순으로 교보문고가 2위인 알파문구와 2배 이상 차이 나는 수치로 1위를 차지했다. 지난 1월 위 5곳의 차량도착수는 △교보문고(9만 7,000대) △알파문구(3만 2,000대) △알라딘중고서점(2만 대) △영풍문고(1만 8,000대) △드림디포(1만 4,000대)로 드림디포와 영풍문고의 순위가 뒤바뀌었다. 전월 대비 증감률은 △교보문고 -15.5% △알파문구 12.5% △알라딘중고서점 -5% △드림디포 14.3% △영풍문고 -16.7%로 서점의 차량도착수는 감소하는 반면 문구점 차량도착수는 증가했다. 2월 지점별 서적·문구점 톱5에는 △교보문고 광화문점(1만 9,000대) △교보문고 강남점(9,000대) △교보문고 대구점(6,000대) △교보문고 일산점(6,000대) △교보문고 광교점(4,000대)순으로 모두 교보문고가 차지했다. #서점 #문구점 #데이터드래곤 #TDI  

쿠팡 첫 2분기 연속 흑자…국내 앱 사용자 현황은?

0

-작년 하반기 대비 23년 MAU 비율↓, 80%대로 떨어져 쿠팡이 2014년 로켓 배송을 시작한 이후 처음으로 2분기 연속 흑자를 기록했다. 지난해 연간 흑자 달성에는 실패했지만 역대 최대인 연 매출 26조 원대 매출을 기록했다. 전년 대비 26% 증가한 수치다. 지난해 말 쿠팡의 활성 고객은 1,811만 5,000명, 1인당 고객 매출은 294달러(40만 원)로 전년 대비 4% 증가했다. 쿠팡의 강점은 충성 고객이다. 쿠팡의 유료 멤버십인 와우 회원 수는 지난해 처음으로 1,000만 명을 돌파해 1,100만 명을 기록했다. 지난해 6월부터 가격을 올렸지만 고객 이탈 없이 전년 대비 200만 명이 증가한 모습을 보였다. 김범석 쿠팡 이사회 의장은 실적 발표 후 “수년에 걸쳐 지속한 투자와 혁신의 결과”라며 “아직 국내 유통 시장은 오프라인 중심이며 가격도 높고 상품도 제한적인 만큼 고객에게 더 다양하고 낮은 가격과 특별한 서비스로 다가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국내 쿠팡 앱 사용자 현황을 빅데이터 전문기업 TDI(티디아이, 대표 신성균)의 분석 플랫폼 데이터드래곤을 통해 쿠팡 앱 기기설치수와 MAU(월 사용자 수)를 분석해 봤다. ▶이미지=TDI News(티디아이 뉴스) 2022년 9월부터 2023년 2월까지 설치기기수는 증감을 반복하는 모습을 보였다. 2023년 2월 쿠팡 앱 설치자는 2,480만 4,000대로 전월인 1월 대비 약 4만 대가 감소한 모습을 보였다. 설치수 대비 MAU는 2023년 1월 전월 대비 6% 이상 감소하며 80%대로 떨어졌다. 이후 2월 약 1% 더 떨어져 85.1%라는 수치를 보였다. 한편 쿠팡은 내달 12일까지 봄맞이 공간 새 단장을 위한 ‘봄 리빙 페이’를 시행한다. 이번 행사는 이사 철과 봄맞이 대청소 필수품인 각종 청소, 정리, 수납 용품부터 인테리어 소품까지 총 4,000여 개의 리빙용품이 준비됐다. #쿠팡 #데이터드래곤 #TDI

2월 반등 성공한 아울렛…방문객 톱5는?

0

-Tmap 사용자 분석, 브랜드·지점별 1위 유지 ▶이미지=TDI News(티디아이 뉴스) 빅데이터 전문기업 TDI(티디아이, 대표 신성균)가 자사의 플랫폼 데이터드래곤을 통해 Tmap 사용자를 분석했다. 2월 기준 국내 아울렛의 브랜드별 차량도착수 톱5는 △롯데프리미엄아울렛(36만 3,000대) △신세계사이먼프리미엄아울렛(25만 4,000대) △현대프리미엄아울렛 (24만 9,000대) △롯데아울렛(11만 1,000대) △뉴코아아울렛(10만 6,000대)이다. 1월 톱5는 △롯데프리미엄아울렛(36만 대) △현대프리미엄아울렛(24만 9,000대) △신세계사이먼프리미엄아울렛(24만 2,000대) △롯데아울렛(11만 4,000대) △뉴코아아울렛(10만 1,000대) 순으로 2월 들어 신세계사이먼프리미엄아울렛이 현대프리미엄아울렛을 제치고 2위에 올랐다. 전월 대비 증감률은 △롯데프리미엄아울렛 0.8% △신세계사이먼프리미엄아울렛 5.0% △현대프리미엄아울렛 0.0% △롯데아울렛 -2.6% △뉴코아아울렛 5.0%다. 1월 크게 감소했던 아울렛 방문자가 2월 들어 대체적으로 반등에 성공한 모습이다. 1월 지점별 아울렛 Top5에는 △현대프리미엄아울렛 김포점(9만 5,000대) △ 신세계사이먼프리미엄아울렛 여주점(8만 6,000대) △ 현대프리미엄아울렛 남양주점(7만 9,000대) △ 롯데프리미엄아울렛 기흥점(7만 2,000대) △현대프리미엄아울렛 송도점(6만 8,000대)이 차례로 올랐다. #아울렛 #데이터드래곤 #TDI

2월 대형마트 톱5, 방문객 수 모두 감소

0

-지점별 랭킹 톱5 모두 코스트코홀세일 ▶이미지=TDI News(티디아이 뉴스) 빅데이터 전문기업 TDI(티디아이, 대표 신성균)가 자사의 플랫폼 데이터드래곤을 통해 Tmap 사용자가 가장 많이 찾은 대형마트를 조사했다. 2월의 대형마트 브랜드별 랭킹은 △이마트(144만 4,000대) △홈플러스(87만 7,000대) △코스트코홀세일(65만 4,000대) △롯데마트(59만 5,000대) △이마트트레이더스(41만 4,000대)로 전월 순위를 유지하며, 이마트만 100만 대를 넘긴 수치를 보였다. 전월 대비 방문객 증감률은 △이마트 -16% △홈플러스 -12.1% △코스트코홀세일 -17.4% △롯데마트 -8.5% △이마트트레이더스 -8.8%순으로 모두 방문자가 감소했다. 한편 대형마트 지점별 랭킹은 △코스트코홀세일 공세점(6만 3,000대) △코스트코홀세일 양재점(5만 9,000대) △코스트코홀세일 하남점(5만 4,000대) △코스트코홀세일 일산점(4만 8,000대) △코스트코홀세일 광명점(4만 8,000대) 순으로 모두 코스트코홀세일이 차지했다. #대형마트 #데이터드래곤 #TDI